티스토리 뷰
반응형
“같은 디자인으로 모든 플랫폼에 쓰지 마세요!”
✅ 왜 플랫폼별 전략이 필요할까?
많은 초보자들이 하나의 썸네일을 모든 곳에 사용합니다.
하지만 플랫폼마다 사용자의 행동 방식과 콘텐츠 탐색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썸네일도 달라야 합니다.
플랫폼특징전략 키워드
YouTube | 영상 탐색, 클릭 유도 | 눈에 띄는 텍스트 + 감정 |
감성 중심 피드 탐색 | 톤앤매너, 색감 일관성 | |
블로그 | 검색 유입 + 썸네일 미리보기 | 정보전달, 글씨 크기 |
커뮤니티 | 텍스트 기반 + 이미지 보조 | 짧은 문구 + 충격/흥미 |
쇼폼 (틱톡/릴스) | 영상 재생 자동 시작 | 자막과 썸네일의 경계 흐림 |
이제 플랫폼별 전략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 1. YouTube 썸네일 전략
▶ 사용자 행동 패턴
- "추천"과 "검색"에서 영상 탐색
- 썸네일이 클릭률의 80% 결정
- 모바일 비율 70% 이상 → 작은 화면 기준으로 봐야 함
▶ 디자인 전략 5가지
- 핵심 키워드 텍스트 삽입 (7자 이내)
- 예: “한 달 300만원?!”, “5분 컷 정리법”
- 얼굴 + 감정 강조 (놀람/웃음/화남)
- 시선을 끄는 표정은 클릭률 상승
- 텍스트와 배경 대비 강하게 (색상, 그림자)
- 어두운 배경 위에 밝은 글자 or 반대로
- 클로즈업 이미지 사용 (특히 인물)
- 상반신 이하 제외, 얼굴 중심 구도
- “과장된 표현” or “궁금증 유도” 활용
- 말 줄임(…)이나 숫자 강조 → 예: “이건 진짜 사기입니다…”
✅ 추천 사이즈 & 설정
- 해상도: 1280x720px (16:9)
- 형식: JPG 또는 PNG
- 파일 크기: 2MB 이내
- YouTube Studio → 썸네일 직접 업로드 가능
📸 2. Instagram 썸네일 전략
▶ 사용자 행동 패턴
- 피드 중심 탐색, 비주얼의 감성이 클릭 유도
- 썸네일은 Reels / IGTV / Carousel에서 중요
- 브랜드/개인 브랜딩 강조
▶ 디자인 전략 4가지
- 피드 내 전체 톤 앤 매너 일관성 유지
- 예: 전체 피드를 파스텔톤, 무채색 등으로 통일
- 텍스트는 최소화하거나 아예 제거
- 감성 사진 중심, 필요하면 작은 글씨만
- 중앙 정렬된 심플한 구도
- 시각적 안정감 제공
- 브랜드 로고 or 얼굴을 작게라도 노출
- 개인 브랜드 강화
✅ 썸네일 설정 팁
- 릴스 등록 시 “표지 이미지 선택” 클릭 → 이미지 업로드 가능
- 해상도: 최소 1080x1350px 권장 (4:5 비율)
- 썸네일 자르기 기준: 중앙 1080x1080 영역이 피드에서 보여짐
📝 3. 블로그 (네이버/티스토리) 썸네일 전략
▶ 사용자 행동 패턴
- 검색 기반 유입
- 리스트에서 썸네일 + 제목 보고 클릭 여부 결정
▶ 디자인 전략 3가지
- 정보 전달형 텍스트 강조 (제목 축약)
- 예: “2025 연말정산 총정리”, “영어회화 핵심 3문장”
- 글씨는 반드시 크고 명확하게
- 가독성이 가장 중요 (모바일 기준 글자 크기 28px 이상)
- 정사각형 or 가로형 썸네일 호환성 체크
- 티스토리는 16:9, 네이버는 1:1로 보임 → 둘 다 호환되는 형태로 제작
✅ 업로드 팁
- 티스토리: 대표 이미지 직접 등록 가능
- 네이버 블로그: 첫 번째 이미지가 썸네일로 사용됨 (위치 주의)
💬 4. 커뮤니티형 플랫폼 (네이트판, 디시인사이드, 더쿠 등)
▶ 사용자 행동 패턴
- 텍스트 중심 탐색, 이미지 보조 수단
- 흥미 유발 / 감정 자극 / 일상 공감에 민감
▶ 디자인 전략 3가지
- 짧고 강한 문구 or 밈 활용
- 예: “그날, 엄마가 울었다”, “ㄹㅇ 현실 남친 유형”
- 밈 이미지 or 짤방 스타일 이미지 삽입
- 과감한 이모지, 말풍선 활용 OK
- 타이틀 카드 느낌으로 제작
- 유튜브처럼 무겁지 않게, 가볍고 위트 있게
🎞️ 5. 숏폼 플랫폼 (TikTok, YouTube Shorts, Instagram Reels)
▶ 사용자 행동 패턴
- 자동 재생 → 썸네일보다 첫 프레임이 중요
- 단, 썸네일은 프로필 피드에서 노출되므로 여전히 중요
▶ 디자인 전략 4가지
- 텍스트는 화면 중앙에 크게!
- 예: “30초 안에 끝나는 꿀팁!”
- 이모지, 숫자 강조
- 시선 유도용: “🔥💡📌”, “3가지 팁”, “100% 되는 법”
- 인물 or 얼굴 있는 장면 사용
- 시선 끄는 요소 필요
- 세로 비율 맞춤 필수 (9:16)
- 1080x1920px 제작 → 모든 숏폼에서 호환
🔍 비교 정리: 플랫폼별 썸네일 한눈에 보기
플랫폼해상도 비율키워드텍스트 양추천 전략
YouTube | 16:9 | 정보, 자극 | 중간 | 감정 강조, 과장 표현 |
1:1 or 4:5 | 감성, 브랜딩 | 적음 | 색감 일관성, 브랜드 노출 | |
블로그 | 1:1 or 16:9 | 실용 정보 | 많음 | 키워드 강조, 가독성 |
커뮤니티 | 자유 | 공감, 유머 | 짧고 강하게 | 밈·짤 스타일, 타이틀 카드 |
쇼폼 | 9:16 | 핵심 포인트 | 큼 | 텍스트 중앙, 이모지 활용 |
✍️ 실전 과제: 플랫폼별 썸네일 연습
플랫폼썸네일 문구 예시
유튜브 | “진짜 이렇게까지 해야 해?” |
인스타그램 | 감성 사진 + “Pause.” 한 단어 |
블로그 | “2025 자격증 취득 가이드 [PDF 포함]” |
커뮤니티 | “현실 공감주의 ㅋㅋㅋ” |
쇼폼 | “📌 지금 안 보면 후회합니다!” |
각 문구에 맞게 Canva나 미리캔버스로 제작해 보세요.
단순히 ‘꾸미는 것’이 아니라, 전략적으로 썸네일을 설계하는 연습입니다.
🔚 요약: 플랫폼에 따라 썸네일 전략도 달라야 한다
- 썸네일은 디자인보다 전략이 먼저입니다.
- 같은 문구라도, 플랫폼에 따라 색상, 위치, 크기, 느낌이 달라야 합니다.
- 하나의 디자인을 복사해서 붙여 넣는 게 아니라, 목적에 따라 커스터마이징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