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사자성어 알면 편해요❕

정말멋진남자 2022. 12. 14. 11:37
반응형

※ 사자성어란?

사자성어는 중국어에서 유래한 4글자 이상의 구어체 표현으로, 각각의 단어가 이미지나 상징적인 의미를 갖고 있으며, 그 자체로 전통적인 지혜나 경험을 담고 있는 말입니다. 대개는 사람이나 사물의 성격, 행동, 상태 등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사자성어는 중국의 문화와 역사를 반영하며, 중국의 문학, 문화, 철학, 역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또한, 한자를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한자 교육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삼밭두전(三八二十一)"이라는 사자성어는 "더 많이 배우는 것이 더 많은 재산을 뜻한다"는 한자 교육에서 자주 사용되는 말입니다.

한국에서도 사자성어가 많이 사용되며, 국어 교육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석이조(一石二鳥)"라는 사자성어는 "한 번의 노력으로 두 가지 이익을 얻는다"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동문서답(東門서답)"은 "상대방의 질문에 답하지 못하거나 마땅한 대처가 없는 상황"을 의미하며, "자화자찬(自畫自賛)"은 "스스로 자기 자신을 칭찬하고 자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사자성어 활용법

사자성어는 한자 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자성어를 잘 활용하면 문장의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다음은 사자성어를 잘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1. 표현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 사자성어는 이미지나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단어보다 표현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집 센 노인" 대신에 "독수리 잡는 손"이라는 사자성어를 사용하면 훨씬 생동감있고 강렬한 표현이 됩니다.

2. 글의 흐름을 원활하게 이어주기 위해 사용 사자성어는 글의 흐름을 이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물 안 개구리"라는 사자성어를 사용하면 어떤 상황에서든 우물 안에 머무르지 않고 넓은 세상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3. 상대방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 사자성어는 공통된 의미와 이미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대방이 이해하기 쉽도록 도와줍니다. 예를 들어, "추노에 베인 손가락"이라는 사자성어를 사용하면, 상대방이 더 이해하기 쉽고 생생한 상상을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사자성어는 한자 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적절하게 사용하면 문장의 표현력을 높일 수 있으며, 글의 흐름을 원활하게 이어주고 상대방의 이해를 돕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 사자성어 공부법

사자성어를 공부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사자성어 단어장 만들기 일단은 사자성어를 배우기 위해 단어장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단어의 의미와 사용법을 기억하기 쉽고, 나중에 다시 찾아보기도 용이합니다.

2. 의미와 예시 문장 학습하기 사자성어를 학습할 때는 단어의 의미뿐 아니라, 그것을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는지도 함께 학습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일석이조(一石二鳥)"라는 사자성어의 경우 "한 번의 노력으로 두 가지 이익을 얻는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이를 사용하는 문장이나 상황을 함께 학습하면 더욱 기억에 잘 남게 됩니다.

3. 관련 서적 참고하기 사자성어를 전문적으로 학습하고자 한다면, 관련 서적을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표적으로는 '중국어사자성어 300'과 '한자사전' 등이 있습니다.

4. 문장 만들어 연습하기 사자성어를 학습한 후에는, 해당 단어를 사용한 문장을 만들어 연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단어의 사용법과 의미를 더욱 자세히 이해할 수 있으며, 더욱 실제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대화나 작문에서 활용하기 마지막으로는 학습한 사자성어를 대화나 작문에서 활용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평소에 익숙해지고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사자성어를 학습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꾸준한 연습과 반복입니다. 매일 조금씩이라도 학습하고 연습하는 것이 중요하며,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사자성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과이불개'(過而不改)

⇒ "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다"는 뜻
→ ‘과이불개’는 『논어』 「위령공편(衛靈公篇)」에 등장

→ 공자는 ‘과이불개 시위과의(過而不改 是謂過矣)’, 즉 “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 것, 이것을 잘못이라 한다”라고 했음

→ 『논어』 「자한편(子罕篇)」에도 나옴

→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는 “잘못하거든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라는 뜻

‘욕개미창(慾蓋彌彰)’

⇒ ‘덮으려고 하면 더욱 드러난다’는 말
→ '잘못을 감추려 할수록 오히려 더욱 드러나게 됨'을 뜻함

'누란지위(累卵之危)'

⇒ '알(卵)을 쌓아놓은(累) 듯 위태롭다(危)'는 뜻

→ '백척간두', '초미지급', '풍전등화'와 같은 의미

'초미지급(焦眉之急)'

⇒ '눈썹이 타고 곧 얼굴이 타게 될 그런 위험한 일'이라는 뜻

→ 발등에 떨어진 불보다 더 위급한 표현

→ '초미(焦眉)'는 '눈썹을 태운다'는 뜻

'도탄지고(塗炭之苦)'

⇒ '진구렁에 빠지고 숯불에 타는 괴로움'을 뜻하는 말

서경중훼지고편(仲虺之誥篇)에 나오는 말

→ '포악한 정치 때문에 백성들이 당하는 어려움과 고통'을 뜻하는 말

'대권재민(大權在民)'

⇒ '나라를 다스리는 권력은 백성에게 있다'는 뜻

→ '국가의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의미

반응형